본문 바로가기

기초 다지기-"사주의 첫걸음"/십성-나와 세상을 연결하는 10가지 역할6

십성로그 EP.06 정인과 편인의 작용 - 지식, 보호, 직관력의 본질 정인(正印)과 편인(偏印)– 나를 키워주는 지식과 보호의 힘내가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성장하는가.정인과 편인은 삶의 배경이 되는 지식, 가족, 인연, 영적 감성을 보여줍니다.정인은 안정적인 배움과 보호,편인은 독창적인 시선과 내면 세계를 의미합니다.둘 모두 나의 내면과 성장의 뿌리를 설명해주는 기운이죠.사주에서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은 인성(印星)에 속하며, 이는 지식, 학문, 보호, 인격, 정신적 성향과 관련이 있습니다.둘 다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기운, 즉 나를 도와주고 지원하는 요소이지만, 성격과 작용 방식이 다릅니다.1. 정인(正印)의 의미와 특징정인(正印)은 바른 지식과 보호의 기운으로, 온화하고 학문적이며, 보호받는 성향을 의미합니다.성격적으로 보면 인자하고 배려심이 있으며, 학문과.. 2025. 3. 14.
십성로그 EP.05 정관과 편관 해석법 - 권위, 질서, 도전 정신의 상징 정관(正官)과 편관(偏官) – 나를 규율하는 질서와 도전삶의 틀을 만들고, 그 안에서 책임을 다하거나 또는 도전하는 기운.정관은 도리, 공정함, 명예,편관은 통제, 추진력, 긴장감을 나타냅니다.정관이 정돈된 사회적 질서와 바른 역할을 말한다면,편관은 불편한 틀을 깨고 새로운 권위를 세우는 힘을 뜻하죠.둘 다 사회 속에서 내가 어떻게 행동하는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사주에서 정관(正官)과 편관(偏官, 七殺)은 관성(官星)에 속하며, 이는 규범, 책임, 사회적 역할, 직업, 명예와 관련이 있습니다.둘 다 일간(日干)을 제어하는 힘을 가지며, 사회적 지위와 리더십을 나타냅니다. 하지만 성격과 작용 방식이 다릅니다.1. 정관(正官)의 의미와 특징정관(正官)은 바른 관성으로, 전통적인 규율과 도덕을 중요시하는 .. 2025. 3. 13.
십성로그 EP.04 정재와 편재의 차이 - 돈과 사람, 관계를 맺는 방식 정재(正財)와 편재(偏財) – 세상과 연결되는 현실적인 힘세상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현실적 능력과 자원,그것이 정재와 편재입니다.정재는 성실함과 책임감,편재는 유연함과 기회 포착력을 뜻하며둘 모두 재물, 인간관계, 외부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내가 세상에서 무엇을 얻고 어떻게 쓰는지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기운입니다. 1. 정재(正財)의 의미와 특징정재(正財)는 ‘바른 재물’, 즉 성실하고 정직하게 얻은 재물을 의미합니다.개인의 성격으로 보면 근면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신뢰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을 뜻합니다. 정재의 주요 특징• 정직하고 성실하게 노력해서 돈을 버는 스타일• 꾸준한 수입과 안정적인 재물을 추구• 책임감이 강하고 신뢰를 중시• 절약 정신이 있으며, 돈을 계획적으로 씀• 긍정적일 때: 믿.. 2025. 3. 12.
십성로그 EP.03 식신과 상관의 역할 - 표현력과 창의성, 재능의 기운 읽기 식신(食神)과 상관(傷官) – 세상에 내어놓는 나의 표현내가 가진 것을 밖으로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그중 차분하고 안정된 방식은 식신,직설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은 상관이라 합니다.식신은 표현, 생산, 여유, 안정을,상관은 개성, 반항, 창조성, 말재주를 상징하며,둘 다 내가 세상을 어떻게 드러내는가를 보여주는 창입니다.1. 식신(食神)의 의미와 특징식신(食神)은 ‘먹을 식(食), 신(神)’, 즉 먹을거리와 풍요를 의미합니다.사람의 성향으로 보면 온순하고, 성실하며, 여유롭고 따뜻한 성격을 뜻합니다. 식신의 주요 특징• 먹고사는 문제, 의식주와 관련이 있다.• 생산, 창조, 기술, 재능을 나타냄.• 말을 부드럽게 하고, 유머감각이 좋음.• 자식, 후배, 창작 활동, 음식 관련 직업과 관련됨.• 긍정적일 .. 2025. 3. 11.
십성로그 EP.02 비견과 겁재의 의미 - 나와 닮은 기운, 경쟁과 협력의 양면성 사주 명리학에서 ‘십성(十星)’은일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천간과 지지의 관계를 통해 내가 세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개념입니다.십성은 단순히 성격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관계, 감정, 재물, 일, 부모, 자식 등삶의 여러 측면에서 나의 역할과 태도를 드러냅니다.십성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의 10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이 각각은 나를 중심으로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그리고 그 세상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사주에서 십성을 이해하면단순한 ‘운세 보기’를 넘어서인간관계의 본질, 자기 이해, 삶의 방향성까지 통찰할 수 있어요.오늘부터 십성이 하나하나어떤 상징을 가지고 있고,어떤 삶의 태도와 연결되는지 알아볼게요. 비견(比肩.. 2025. 3. 10.
십성로그 EP.01 십성(十星)의 개념과 종류-사주 속 인연과 역할 이해하기 사주(四柱)는 인간의 타고난 운명을 해석하는 동양 철학의 한 분야로, 년주, 월주, 일주, 시주의 네 기둥으로 구성됩니다. 사주를 해석하는 방법 중 하나가 십성(十星)을 보는 것입니다. 십성은 사주에서 오행의 상호작용과 음양 관계를 통해 개인의 성격, 직업적 성향, 대인관계 등을 분석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십성의 기본 개념 십성은 일간(日干)을 기준으로 나머지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관계를 분석하여 결정됩니다. 크게 비겁, 식상, 재성, 관성, 인성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각이 양(陽)과 음(陰)으로 세분되어 총 열 가지가 됩니다. 1. 비겁(比劫) – 나와 같은 존재 비견(比肩): 나와 같은 성향을 가진 존재로, 독립심이 강하고 경쟁적인 성향을 보입니다. 겁재(劫財): 비견보다 더.. 2025.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