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다지기-"사주의 첫걸음"/기초개념-오행, 육십갑자, 일간, 월지8

명리로그 EP.12 월지는 인생의 토양, 나의 기반을 읽다 [명리로그 EP.12] 일간과 월지의 조화 – 뿌리내린 나를 바라보는 시선1. 일간은 나, 월지는 환경사주를 볼 때 가장 먼저 보는 건 ‘일간’이죠.그다음으로 중요한 건 ‘월지’입니다.왜냐하면,일간은 ‘나’라는 씨앗이고,월지는 그 씨앗이 뿌리내린 ‘토양’이기 때문이에요.나무도 좋은 땅에 심겨야 잘 자라듯,사주도 일간과 월지의 조화가 인생의 기초 체력을 말해줘요. 2. 월지에 뿌리를 내렸을 때의 힘월지는 사주의 두 번째 기둥(월주)에서 지지(땅)에 해당하는 글자예요.이곳에 일간과 같은 오행(또는 생조해주는 오행)이 있을 경우,일간이 뿌리를 내렸다고 표현해요.예를 들어,• 일간이 갑목(나무)인데 월지가 인목이면? → 같은 나무의 땅! → 뿌리 깊은 나무!• 일간이 병화(태양)인데 월지가 오화면? → 같은.. 2025. 4. 20.
명리로그 EP.11 사주, 뼈대를 알아야 보인다!(사주의 궁이란?) [명리로그 EP.11] 사주의 궁 구조 – 근묘화실, 사주 속 인생의 구조를 읽다우리는 흔히 사주팔자를 연·월·일·시의 네 기둥으로 본다고 하죠.하지만 이 순서에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을 넘어서, 인생의 구조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숨어 있어요.오늘은 이 사주의 네 기둥을 ‘근묘화실(根苗花實)’, 즉 뿌리, 줄기, 꽃, 열매의 구조로 풀어볼게요.🔷️근묘화실(根苗花實) 이론이란?이 이론은 식물의 성장에 비유해 사주팔자의 구조를 해석하는 전통적 이론이에요.사람의 삶도 식물처럼 '어디에서 자라났고', '어떻게 자라고', '어떤 꽃을 피우며', '무슨 열매를 맺는가'로 설명할 수 있다는 거죠.• 根(근) – 뿌리: 연지(年支), 태어난 뿌리, 조상·출신배경• 苗(묘) – 싹: 월지(月支), 성장의 환경, 사회.. 2025. 4. 19.
명리로그 EP.09 사주의 주인공 일간이란? [명리로그 EP.08] 일간(日干)이란 무엇인가 – 사주의 주인공 이해하기 1. 사주의 중심, 일간(日干)사주팔자는 총 8글자.그중에서도 일간(日干)은 가장 핵심적인 글자예요. 일간이란?“일주(日柱)”에 위치한 천간(天干)의 글자를 말합니다.즉,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설명하는‘사주의 주인공’이 바로 일간이에요. 2. 일간이 중요한 이유사주는 결국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요.다른 글자들도 모두 ‘일간’과의 관계로 해석되기 때문이죠.모두 ‘일간’이 기준점입니다.재물운, 직장운, 연애운 등을 볼 때모두 일간을 기준으로 해석하기 때문에자신의 일간을 꼭 알아야 합니다. 3. 일간은 10가지일간은 육십갑자 중 앞글자, 즉 천간 10개 중 하나로 구성돼요.각 일간은 자신만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이 성질을 중심으로 .. 2025. 4. 15.
명리로그 EP.07 연월일시로 보는 나의 사주팔자 [명리로그 EP.07] 사주팔자란 무엇인가? – 네 기둥, 여덟 글자의 구조 1. 사주팔자란?사주팔자(四柱八字)는사람이 태어난 순간의 연(年), 월(月), 일(日), 시(時),이 네 가지 기둥(柱) 위에각각 천간 + 지지 한 쌍씩, 총 여덟 글자로 구성됩니다.즉, 네 기둥 × 두 글자 = 여덟 글자!이 여덟 글자가그 사람의 기질, 성향, 환경, 운의 흐름까지다양하게 드러내는 명리학의 출발점이 됩니다. 2. 각 기둥이 의미하는 것들🔹️연주 : 조상, 성장 배경, 사회적 기반, 유년기 운🔹️월주 : 부모, 청소년기, 사회 활동력, 직업 성향🔹️일주 : 자신, 배우자🔹️시주 : 자녀, 말년, 잠재능력, 비래 방향성 특히 일간(日干)은사주 전체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점이에요."사주의 주인공은 바로 .. 2025. 4. 14.
명리로그 EP.06 육십갑자란? – 천간과 지지가 짝을 이루는 원리 [명리로그 EP.06] 육십갑자 이해하기 우리는 앞서 천간 10개, 지지 12개에 대해 배웠어요.이번엔 이 둘이 만나 이루는 조합인 ‘육십갑자(六十甲子)’에 대해 알아볼게요.1. 육십갑자란 무엇인가요?‘갑자(甲子)’는 천간의 첫 번째인 ‘갑’과, 지지의 첫 번째인 ‘자’가 짝을 이루는 것을 말해요.이렇게 천간과 지지가 짝을 이루는 조합이 총 60개가 존재하고,이를 묶어서 육십갑자라고 부릅니다.쉽게 말해, 천간 10개 + 지지 12개 = 60가지 조합!이 조합은 단순히 나열되는 게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순환돼요. 2. 육십갑자는 이렇게 만들어져요!천간은 10개, 지지는 12개라서둘이 딱 맞춰 떨어지지 않아요.그래서 두 개씩 순서대로 짝을 지어가다 보면60번째 조합(계해)을 끝으로 처음으로 다시 돌아.. 2025. 4. 13.
명리로그 EP.05 오행의 상생과 상극이란-서로 돕거나 혹은 견제하는 다섯가지 자연의 기운 [명리로그 EP.05] 오행의 상생과 상극명리학의 핵심인 오행,그 다섯 기운은 서로 돕고, 견제하며자연의 순환과 균형을 만들어갑니다. 1. 오행, 다섯 기운의 원리오행(五行)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기운입니다.각각은 자연 속의 특정 요소를 상징하며,사람의 성격, 성향, 관계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상생 – 서로를 돕는 관계상생(相生)은 글자 그대로 서로 낳고 길러주는 관계입니다.기운이 원활하게 흐르고,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흐름이죠.• 목생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태운다.• 화생토(火生土): 불은 재를 남겨 흙이 된다.• 토생금(土生金): 땅은 금속을 품는다.• 금생수(金生水): 금속은 차가운 기운으로 물을 응축한다.• 수생목(水生木): 물은 나무를 자라게 한.. 2025.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