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로그 EP.03] 천간이란? 하늘의 기운을 읽는 열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주팔자(四柱八字)란, 태어난 연·월·일·시의 기운을 간지(干支)로 풀어낸 여덟 글자를 말해요. 여기서 각각의 기둥(柱)은 두 글자로 구성되며, 위에는 ‘천간(天干)’, 아래에는 ‘지지(地支)’가 자리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하늘의 기운을 뜻하는 천간에 대해 알아볼게요.
🔹️천간이란 무엇인가요?
천간은 ‘하늘의 줄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요. 우리가 태어날 때, 하늘에서 내려온 에너지가 어떤 성질이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죠.
천간은 총 10가지로 구성되며, 이를 십천간(十天干)이라고 부릅니다.
이 열 가지는 각각 오행(五行)과 음양(陰陽)의 원리에 따라 배치되어 있어요.
즉, 오행의 다섯 가지 기운(목·화·토·금·수)이 음과 양으로 나뉘어 열 개가 되는 거예요.
•🌳 목(木): 갑(陽), 을(陰)
•🔥 화(火): 병(陽), 정(陰)
•🪐 토(土): 무(陽), 기(陰)
•💍 금(金): 경(陽), 신(陰)
•🌊 수(水): 임(陽), 계(陰)
이렇게 나누어진 천간은, 각 개인이 태어난 연·월·일·시의 하늘 기운을 나타내며, 사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천간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천간은 주로 겉으로 드러나는 성향을 설명할 때 사용돼요.
사람의 첫인상이나 외형적인 태도, 세상과의 관계 속에서 보이는 행동 패턴 등에 영향을 미치죠.
예를 들어, ‘갑’이라는 천간은 새싹이 올라오는 기운이라 개척적이고 직진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정’이라는 천간은 부드럽고 따뜻한 불의 기운이므로, 조용하지만 은은한 영향력을 가진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물론 이는 아주 기본적인 예시고, 실제 사주를 볼 때는 이 천간이 어떤 지지와 짝을 이루고 있는지, 어떤 흐름 속에 놓여 있는지를 함께 보아야 더 정확한 해석이 가능해요.
🔹️천간은 어디에 위치하나요?
사주팔자는 연(年)·월(月)·일(日)·시(時)의 네 기둥으로 되어 있고, 각 기둥은 두 글자—천간과 지지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중 위에 놓인 글자가 천간이에요.
즉, 사주팔자의 위쪽 네 글자가 전부 천간이랍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각 시점의 ‘겉으로 드러난 기운’을 알 수 있어요.
특히 일간(日干)은 나 자신을 상징하는 천간으로, 사주 해석의 핵심 중 하나예요.
🔹️오늘의 정리
천간은 하늘에서 주어진 열 가지 기운.
내 사주의 겉모습, 성격의 외피를 비추는 하늘의 언어예요.
다음 시간엔 천간과 짝을 이루는 땅의 기운, 지지(地支)에 대해 알아볼게요!
겉과 속이 만나야 진짜 ‘나’를 알 수 있으니까요.
✨️참고로!
어제 예고드렸던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천간과 지지의 흐름을 먼저 알고 나면 훨씬 이해가 쉬워요.
그래서 다음 편인 지지 편까지 살펴본 후, 상생 상극에 대해 더 깊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게요!
'기초 다지기-"사주의 첫걸음" > 십천간-10가지 하늘의 기운(갑~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로그 EP.16 경금, 신금 일간 해석-금속(金)의 강인함과 전문성 (14) | 2025.04.24 |
---|---|
명리로그 EP.15 무토, 기토 일간의 특징-흙(土)의 안정성과 변화 (16) | 2025.04.23 |
명리로그 EP.14 병화, 정화 일간의 특성-불(火)의 성향과 작용 (12) | 2025.04.22 |
명리로그 EP.13 갑목, 을목 일간 성격과 특징-나무(木)의 기운 해석 (10) | 2025.04.21 |
명리로그 EP.09 십천간의 특징-나는 어떤 자연인가요? (16)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