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다지기-"사주의 첫걸음"/합충형-사주 속 관계의 언어

명리로그 EP.27 지지 삼합의 의미와 해석

by 명리의 숲 2025. 5. 10.

[명리로그 EP.27] 삼합(三合)이란 무엇인가 – 지지의 완전한 연합을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명리로그입니다.
오늘은 지지의 삼합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명리학에서 지지(地支)의 관계는 단순한 나열이 아닙니다.
그 안에는 끌림과 반발, 협력과 갈등의 복잡한 조화가 숨어있죠.
이번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연합 작용, 삼합(三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삼합이란?
삼합이란 세 개의 지지가 모여 하나의 오행 기운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 세 지지는 단순히 가까운 것이 아니라, 특정한 위치 관계와 시간 흐름 속에서 강한 통일성을 갖습니다.
흔히 말하길, 삼합은 마치 “같은 꿈을 꾸는 동지들”과 같다고 하지요.


2. 삼합의 구조: 계절과 생지의 흐름
삼합은 생(生) → 왕(旺) → 묘(墓)라는 십이운성의 흐름을 따릅니다.
십이운성은 사람이 태어나고 성장하고 노쇠해서 죽는 흐름을 사주에 대입하여 해석하는 이론입니다.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의 총 12단계로 나뉩니다(십이운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운성로그 EP.00~12까지를 참조하세요)
그 중 삼합은 나고(생), 전성기에 이르고(왕), 죽는(묘) 세 단계로 목, 화, 금, 수 오행의 생멸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삼합 vs 방합

 
 
예를 들어, 신자진(水局)은 다음과 같은 의미 흐름을 가집니다:
• 신(申): 금생수(金生水) → (水)의 시작
• 자(子): 수(水)의 절정, 수기(水氣)의 왕성
• 진(辰): 수의 묘지, 수의 기운을 마무리
이렇게 셋이 모이면 수(水)의 기운이 강하게 형성되며, 이 삼합이 완성됩니다.


3. 삼합의 작용 조건
삼합이 성립하려면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원국의 위치: 세 지지가 한 사주 내에 다 존재하고 생왕묘지가 순서대로 붙어있으며 왕지가 월지인 경우 가장 강하게 작용
• 순서적 흐름: 생→왕→묘가 순서대로 붙어 있지 않고 왕지가 한쪽 구석에 있거나, 생왕묘 지지 사이에 다른 글자가 끼어 있으면 결속력이 약해짐
• 충 작용 여부: 삼합 내 지지가 충이 되면 삼합이 깨짐. 신자진 삼합이 있는데 술토까지 있어서 진술충이 되면 삼합이 와해됨
• 강한 국으로 성립: 계절에 맞으면 더욱 힘을 얻음 (예: 수국은 겨울철에 더 강함)
• 반삼합(반합): 생지+왕지 혹은 왕지+묘지만 있는 경우 반합이라고 하여 완전한 국을 이루지는 못하지만 운에서 부족한 글자가 오는 경우 삼합국이 완성됨(사주에 인묘 혹은 묘진만 있다가 대운이나 세운에서 진이나 인이 와서 삼합을 이루는 경우). 왕지 없이 생지+묘지만 있는 경우는 반합이라고 인정하기 어려움(예: 묘 없이 인진만 있는 경우)


4. 삼합과 사주의 해석
삼합은 단순한 합보다 훨씬 더 강력한 기세를 만듭니다.
예를 들어, 삼합으로 화국(火局)이 성립하면, 사주는 뜨거운 불길처럼 흘러갑니다.
십성을 대입하면 해당 십성의 성격이 강하게 발현됩니다.
따라서 용신 판단, 격국 성립, 운의 흐름 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또한 삼합이 형성된 사주는 특정 오행으로 성향이 몰리는 만큼,
균형과 조화를 찾는 것이 해석의 핵심이 됩니다.


5. 삼합과 방합의 차이점
•삼합은 사회 속에서의 외부적 연대를 의미합니다. 예컨대 직장, 조직, 동료들과의 강한 공통 목표를 가진 연합과 같습니다. 그래서 삼합을 사회적 합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삼합은 지지 사이에 거리가 있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연합되는 개념으로 봅니다.
방합은 형제, 배우자, 가족과 같은 친밀한 관계를 상징합니다. 그래서 방합을 가족합, 형제합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지지가 서로 거리적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방합을 공간적으로 연합되는 개념으로 봅니다.


6. 사생지와 사고지는 각각 다른 오행의 시작과 끝을 담당

 

사생지는
인목: 목 오행이지만 화 삼합을 시작하는 역할
사화: 화 오행이지만 금 삼합을 시작하는 역할
신금: 금 오행이지만 수 삼합을 시작하는 역할
해수: 수 오행이지만 목 오행을 시작하는 역할
 
사고지는
진토: 방합에 의해 목 오행이 되었지만 수 삼합을 마무리하는 역할
미토: 방합에 의해 화 오행이 되었지만 목 삼합을 마무리하는 역할
술토: 방합에 의해 금 오행이 되었지만 화 삼합을 마무리하는 역할
축토: 방합에 의해 수 오행이 되었지만 금 삼합을 마무리하는 역할
을 해요.

그 이유는 도표처럼 각 지장간의 중기를 살펴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각각 삼합해서 화하는 오행을 품고 있어요.
계절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한 명리학의 혜안에 감탄하게 됩니다.
 

7. 삼합과 삼재(三災)의 연관성
‘삼재(三災)’라는 개념도 삼합 구조에서 유래된 이론입니다.
예를 들어, 해묘미(木局) 삼합을 이루는 띠는 사오미년이 삼재해가 되는데 그 이유는 해묘미 목국의 목 오행은 사오미년이 십이운성상 병사묘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삼합에 해당하는 오행의 흐름이 하락하는 삼년 동안, 해당 띠는 시련을 겪는다는 전통적인 해석이죠.


삼합은 마치 하나의 오행 연합정부와 같습니다.
강력하고, 일관된 방향성을 가지고 흘러갑니다.
사주 속 삼합을 읽을 수 있다는 건,
그 사람의 성향, 운의 흐름, 필요한 기운을 꿰뚫는 핵심 열쇠를 쥔 것과 같습니다.
시간이 흐르며 완성되는 동적 구조라는 점에서 명리의 정교한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다음 EP.28에서는 육합(六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리로그 | 함께하는 사주 공부 
매일 한 걸음, 차근차근 쌓이는 명리력!
 
 
✨️함께 읽으면 공부되는 글
명리로그 EP.22 지장간의 시작: 인신사해, 생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2 지장간의 시작: 인신사해, 생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2]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 사주의 지장간 이야기” 오늘부터는 12 지지의 지장간에 대해 알아볼게요.천간은 순수한 하늘의 기운이라 갑목은 갑목, 계수는 계수 한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3 계절의 정점: 자오묘유,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3 계절의 정점: 자오묘유,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3] 지장간의 이해, 자오묘유편 :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지장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겉으로 보이는 천간만으로는 사람의 성향과 운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지장간은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4 계절의 끝자락: 진술축미, 고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4 계절의 끝자락: 진술축미, 고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4] 진술축미(辰戌丑未)의 공통점과 지장간 구조 안녕하세요 명리로그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사생지인 인신사해, 사왕지인 자오묘유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지장간의 마지막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6 지지 방합의 의미와 해석

 

명리로그 EP.26 지지 방합의 의미와 해석

[명리로그 EP. 26] 지지의 구조적 합, 방합(方合)으로 기운의 흐름을 읽다! 안녕하세요 명리로그입니다.명리학의 핵심은 결국 ‘기운의 흐름’을 읽는 데 있습니다. 그리고 이 흐름을 가장 직접적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8 지지 육합의 의미와 해석

 

명리로그 EP.28 지지 육합의 의미와 해석

명리로그 EP.28 지지의 육합(六合) – 관계의 매듭, 기운의 통로 사주명리에서 ‘합(合)’이란결합하고, 이어지고, 변화하는 관계입니다.그중 육합(六合)은 다른 지지의 합(방합, 삼합)과 달리 1:1

futureplans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