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다지기-"사주의 첫걸음"/합충형-사주 속 관계의 언어

명리로그 EP.29 천간지지 암합의 의미와 해석

by 명리의 숲 2025. 5. 12.

[명리로그 EP.29] 암합(暗合)의 이해 – 지장간 속 숨은 합의 세계

사주명리학에서 '합(合)'은 기운의 결합과 변화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그중에서도 '암합(暗合)'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지장간(地藏干) 속에서 일어나는 은밀한 합, 보이지 않는 어두운 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장간에 대한 설명은 EP.22~24를 참조하세요)



🔷️ 암합이란 무엇인가?

암합은 '숨은 합' 또는 '은밀한 합'을 의미하며,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지지(地支)와 지지(地支)의 지장간에서 발생하는 합을 말합니다.  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천간(天干)의 합과 달리, 지지 속에 숨겨진 천간(地藏干)들 간의 결합으로, 사주 해석 시 표면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암합의 유형

1. 천간과 지지 사이의 암합(간지 암합)

천간과 지지의 지장간 정기(正氣) 간에 발생하는 합으로,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정해합(丁亥合): 정화와 해수의 정기인 임수 간의 합(=천간 정임합)
무자합(戊子): 무토와 자수의 정기인 계수 간의 합(=천간 무계합)
신사합(辛巳): 신금과 사화의 정기인 병화 간의 합(=천간 병신합)
임오합(壬午): 임수와 오화의 정기인 정화 간의 합(=천간 정임합)

이러한 합은 천간과 지지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같은 주(연간과 연지, 일간과 일지 등)에서 이루어집니다.

2. 지지와 지지 사이의 암합

지지의 지장간 정기들 간에 발생하는 합으로,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술합(子戌合): 자수의 정기인 계수와 술토의 정기인 무토 간의 합(=천간 무계합)
축인합(丑寅合): 축토의 정기인 기토와 인목의 정기인 갑목 간의 합(=천간 갑기합)
묘신합(卯申合): 묘목의 정기인 을목과 신금의 정기인 경금 간의 합(=천간 을경합)
인미합(寅未合): 인목의 정기인 갑목과 미토의 정기인 기토 간의 합(=천간 갑기합)
오해합(午亥合): 오화의 정기인 정화와 해수의 정기인 임수 간의 합(=천간 정임합)

이러한 암합은 지지 간의 숨은 관계를 나타내며, 사주 해석 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영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암합을 도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천간지지 암합의 구조



🔷️ 암합의 작용 조건

• 암합은 지장간들끼리 몰래 하는 합이므로 합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 모두 지장간의 정기 사이에 합이 일어나므로 다섯 가지 천간합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 다른 합과 마찬가지로 서로 붙어 있어야 작용력이 강합니다. 결합력이 약해서 천간과 지지 사이의 암합은 위와 아래, 지지 사이의 암합은 나란히 좌우에 있어야 성립됩니다.
• 사주 내에 있는 암합보다 대운이나 세운에 해당 암합을 이루는 글자가 오는 경우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숨어 있던 육친적 사건이 표면화되거나 변화합니다.


🔷️ 암합의 해석과 활용

암합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지장간 속에서만 일어나는 결합이기 때문에, 현실에서도 은밀하거나 무의식적인 관계, 겉과 다른 감정선, 뒤늦게 드러나는 사건 등을 의미합니다. 육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해석됩니다.

① 비겁(비견·겁재)가 암합 될 경우
나와 닮은 사람, 경쟁자와의 은밀한 연대, 또는 묻어두었던 비교심, 질투심. 실제로는 가까운 사람이지만, 겉으로는 티 나지 않는 충돌이나 협력.

② 식상(식신·상관)이 암합될 경우
창작, 표현, 자식, 연애 감정이 숨어 있는 상태. 식상이 암합될 경우 '숨겨진 재능'이나 '표출되지 못한 욕망', '감춰진 자식 문제'를 뜻할 수 있음.

③ 재성(정재·편재)이 암합될 경우
숨겨진 재물, 몰래 벌어들인 돈, 숨겨진 연인(이성 관계). 특히 남명 사주에서 암합 된 재성은 은밀한 연애, 불륜, 내연 관계와 관련되는 경우가 있음.

④ 관성(정관·편관)이 암합 될 경우
여명 사주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 숨어 있는 연인, 결혼 상대, 외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통제 구조. 특히 정관이 암합될 경우, 겉으로는 단정하나 내면적으로는 혼란 혹은 감춰진 인연을 암시할 수 있음.

⑤ 인성(정인·편인)이 암합될 경우
숨겨진 학문, 보호자, 조력자, 혹은 어머니와 관련된 사건. 인성이 암합 되면 정보가 숨겨지거나, 감정적으로 의지했던 사람과의 단절 혹은 재연결 가능성도 내포.


사주에서의 ‘합’은 다양한 관계성을 말하지만, 그 작용력은 항상 동일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삼합 > 방합 > 육합 > 암합 순으로 작용력과 영향력이 크다고 보며, 암합은 그중 가장 은밀하고 약한 연결에 해당합니다.
암합은 지장간 속 보이지 않는 기운의 교류이기에,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변화보다는 내면의 감정 변화, 의식 속의 관계, 은밀한 흐름을 읽을 수 있게 해 줍니다. 즉, 암합은 겉으로 강하게 드러나는 사건보다는, 시간이 지나며 서서히 드러나거나, 특정 운에서야 비로소 작용하는 섬세한 힘입니다.


다음 시간부터는 합과 정반대의 에너지인 충(沖)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충’은 갈등일까요 아니면 변화의 기회일까요?

다음 시간도 함께 해주세요!

 

 

✨️천간합 복습하시면 더 이해가 잘 돼요🤓

명리로그 EP.25 천간합(天干合)의 해석

 

명리로그 EP.25 천간합(天干合)의 해석

[명리로그 EP.25] 천간의 합(天干合), 하늘의 관계를 읽는 법 사주는 '구성'만큼이나 '관계'가 중요합니다.그중에서도 '합(合)'은 서로 다른 기운이 만나 새로운 성질을 만들어내는 변화의 시작점이

futureplans6.tistory.com

✨️지장간에 대해 궁금하시면→

명리로그 EP.22 지장간의 시작: 인신사해, 생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2 지장간의 시작: 인신사해, 생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2] “겉으로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 사주의 지장간 이야기” 오늘부터는 12 지지의 지장간에 대해 알아볼게요.천간은 순수한 하늘의 기운이라 갑목은 갑목, 계수는 계수 한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3 계절의 정점: 자오묘유,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3 계절의 정점: 자오묘유,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3] 지장간의 이해, 자오묘유편 : 왕지의 지장간 이야기지장간을 왜 공부해야 할까요?겉으로 보이는 천간만으로는 사람의 성향과 운을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지장간은

futureplans6.tistory.com

명리로그 EP.24 계절의 끝자락: 진술축미, 고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4 계절의 끝자락: 진술축미, 고지의 지장간 이야기

[명리로그 EP.24] 진술축미(辰戌丑未)의 공통점과 지장간 구조 안녕하세요 명리로그입니다. 지난 시간까지 사생지인 인신사해, 사왕지인 자오묘유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지장간의 마지막

futureplans6.tistory.com